728x90
// 똑같은 동작을 하는 코드들을 하나로 묶어서 함수로 사용
// ex1) 직사각형 면적 구하기
let width1 = 10; //넓이 10
let height1 = 20; // 높이 20
let area1 = width1 * height1;
console.log(area1);
// ex2) 넓이 높이가 1번과 다른 직사각형의 면적을 구하려면?
let width2 = 30;
let height2 = 15;
let area2 = width2 * height2;
console.log(area2);
// 🚀 위의 예시처럼 중복되는 코드들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"함수" 만들기!
// 직사각혁의 면적을 여러개 구할때 함수의 매개변수를 받아서 전달하면 됨!
// function : 함수 / getArea : 함수이름 / () 의 역할 : 매개변수 전달! / 여기서는 넓이와 높이를 매개변수로 지정!
function getArea(width, height) {
let area = width * height;
return area;; // return 을 사용하면 변수로 받아서 사용도 가능!
// 함수 선언식, 함수 선언 방식의 함수 생성 🚀 실행을 하는건 아님! 호출을 해야 실행됨
}
let area1 = getArea(1, 200); // 함수 호출! (🚀함수호출시 getArea 함수의 중괄호 안에 있는 코드가 끝날때까지 밑에 코드는 실행되지 않음! / 여러번 호출도 가능!)
console.log(area) // 🚀 area 라는 변수는 함수 내부에 선언된 변수라서 바깥에서 접근이 안됨! => 그 지역에서만 사용할수있는 변수라 "지역변수" 라고 함!
// 🚀 "전역변수" : 함수 외부에 선언되어서 어디에서든 접근할수 있는 변수!
console.log("함수 실행 완료");
지역변수 & 전역변수
∙ 지역변수 :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변수, 바깥에서 접근이 안됨
∙ 전역변수 : 함수 외부에 선언된변수, 어디에서든 접근할 수 있음!
728x90
'개인 공부 > React (: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강의정리] JavaScript 기본 - 함수표현식 & 화살표 함수 (0) | 2023.10.23 |
---|---|
[강의정리] JavaScript 기본 - 조건문 (0) | 2023.10.23 |
[강의정리] JavaScript 기본 - 연산자 (1) | 2023.10.23 |
[강의정리] JavaScript 기본 - 자료형과 형변환 (0) | 2023.10.23 |
[강의정리] JavaScript 기본 - 변수와 상수 (0) | 2023.10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