...

개인 공부

개인 공부/제대로 파는 자바스크립트(JavaScript)

[원시타입 vs 참조타입]

JavaScript 에서 데이터 타입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원시타입 :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이다. 원시 타입에 속하는 값들은 변경이 불가능한 값을 가진다. 즉, 한 번 생성된 원시 값은 읽기만 가능하고 변경할 수 없다 (원시타입에는 number, string, boolean, null, undefined, symbol, bigint 등이 있다) 참조타입 : 참조 타입은 객체(Object), 배열(Array), 함수(Function) 등이 해당된다. 참조 타입의 값은 객체이며, 변수에는 참조 값이 저장된다. 이 참조 값은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며, 이 주소를 통해 실제 객체에 접근하게 된다

개인 공부/React (: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)

[강의정리] JavaScript 기본 - 함수표현식 & 화살표 함수

1. 함수표현식 // 🚀 함수를 값에 담을때는 별도로 함수 이름을 지정하지 않아도 됨 let hello = function () { return "안녕하세요 여러분"; }; console.log(hello); // 결과 : ƒ hello() {} : "Function" ➡️ 함수를 담고있다! 는 뜻! const helloText = hello(); console.log(helloText); // 안녕하세요 여러분 2. 호이스팅 // 함수 표현식 vs 함수 선언식 // 🚀 호이스팅 : "함수 선언식"으로 만들어진 함수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에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진다 console.log(helloB()); // 함수 선언식은 호이스팅 🙆‍♀️ console.log(helloA()); // 함수 표현식은 호이..

개인 공부/React (: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)

[강의정리] JavaScript 기본 - 함수

// 똑같은 동작을 하는 코드들을 하나로 묶어서 함수로 사용 // ex1) 직사각형 면적 구하기 let width1 = 10; //넓이 10 let height1 = 20; // 높이 20 let area1 = width1 * height1; console.log(area1); // ex2) 넓이 높이가 1번과 다른 직사각형의 면적을 구하려면? let width2 = 30; let height2 = 15; let area2 = width2 * height2; console.log(area2); // 🚀 위의 예시처럼 중복되는 코드들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"함수" 만들기! // 직사각혁의 면적을 여러개 구할때 함수의 매개변수를 받아서 전달하면 됨! // function : 함수 / getArea : ..

개인 공부/React (: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)

[강의정리] JavaScript 기본 - 조건문

// 조건문 : 어떤 연산의 결과가 참 거짓에 따라서 다른 명령을 지시하는 상황 let a = 3; if (a >= 5) { console.log("5 이상입니다"); } else { console.log("5 이하입니다"); } // 5 이하입니다 let a = 3; if (a >= 7) { console.log("7 이상입니다"); } else if (a >= 5) { // else if :if 의 조건문이 거짓일때 한 번 더 검사 console.log("5 이상입니다"); } else { console.log("5 미만입니다"); } // 5 미만입니다 let country = "ko"; if (country === "ko") { console.log("한국"); } else if (country ..

개인 공부/React (: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)

[강의정리] JavaScript 기본 - 연산자

// // [대입 연산자] // let a = 1; //[산술 연산자] let a = 1; let b = 2; console.log(a+b); console.log(a*b); console.log(a-b); console.log(a/b); console.log(a%b); // [연결 연산자] // 묵시적 형변환이 적용됨 (양쪽이 숫자인지 확인 필요해줘야됨) let a = "1"; let b = "2"; console.log(a + b); // [복합 연산자] // 산술연산자를 대입연산자와 함께 사용 let a = 5; a = a + 10; // 이거보다 console.log(a); a += 10 // 이렇게 쓰는게 복합 연산자임 // [증감 연산자] // 산술연산자를 두번이어서 사용 let a = 10;..

개인 공부/React (: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)

[강의정리] JavaScript 기본 - 자료형과 형변환

// Primitive Type(원시타입) : 한번에 하나의 값만 가질수 있음, 하나의 고정된 저장공간 이용 // Non-Primitive Type(비원시타입) : 한번에 여러 개의 값을 가질 수 있음, 여러개의 고정되지 않은 동적 공간사용 let age = 25; // 정수 let tall = 175.9; // 실수 let inf = Infinity; let minusInf = -Infinity; let nan = NaN; // 수학적 연산 실패 console.log(age + tall); let name = "winterlood"; let name2 = "홍길동"; let name3 = `winterlood${name2}`; // 🚀 템플릿 리터럴 console.log(name3); let isSwi..

유도미
'개인 공부' 카테고리의 글 목록